본문 바로가기
놀라운 세상

빚내서 집 산 3040, 고금리 직격탄에 소비 가장 많이 줄였다

by 인포 스텔라 2024. 2. 25.
반응형

빚내서 집 산 3040, 고금리 직격탄에 소비 가장 많이 줄였다
빚내서 집 산 3040, 고금리 직격탄에 소비 가장 많이 줄였다

 

영끌해서 집을 산 3040세대...

고금리, 경기 침체의 직격탄으로 인해서 가장 먼저 소비를 줄이는 세대가 되어 버렸습니다.

 

사실 이 세대가 전세계적으로 가장 소비를 많이 하는 세대인데요. 우리나라에서는 이 세대가 빚을 갚느라 소비를 하지 않으니 경기가 다시 침체로 들어가고... 그렇게 또 고금리에 소비 둔화... 끝없는 악순환에 빠지게 되네요 ㅠㅠ

 

자, 그럼 소식 보겠습니다.

 

* 다른 흥미로운 포스팅이 궁금하시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빚내서 집 산 3040, 고금리 직격탄에 소비 가장 많이 줄였다

 

고물가와 고금리의 영향으로 민간 소비의 부진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집을 마련하기 위해 빚을 낸 30대와 40대가 금리 인상 이후 소비를 가장 크게 줄였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은행 조사국은 25일 '가계별 금리 노출을 고려한 금리 상승의 소비 영향 점검'(경제전망 핵심 이슈) 보고서를 통해 이와 같이 밝혔습니다.

 

한국은행은 보고서에서 금리 상승으로 인해 가계가 저축을 늘리고 현재의 소비를 줄이는 '기간 간 대체'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실제로 소비는 품목이나 가계의 특성과 관계없이 널리 부진한 상태를 보이며, 가계 순저축률은 과거 평균에 비해 높은 수준입니다.

또한 가계가 고금리를 따라 예금, 채권 등의 이자 소득 자산을 늘리고 대출 등의 이자 지출 부채를 줄이면서, 가계의 이자 소득 자산과 부채의 비율이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한국은행은 가계별로 금리 인상에 따른 재무적 영향이 다를 수 있음을 고려해, 가계별 '금리 노출'을 측정하고, 금리 노출이 낮은 1-3분위를 '금리상승 손해층'으로, 5분위를 '취약층'으로, 9-10분위를 '금리상승 이득층'으로 분류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금리에 민감한 자산보다 부채가 많은 '금리상승 손해층'은 연령 면에서 30대와 40대의 비중이 높았으며, 소득은 중상층, 소비는 상위층에 집중되어 있었습니다.

 

특히 주택 보유 비율, 수도권 거주 비율, 부채가 모두 높은 수준이며 부동산 담보 대출 비율도 크다고 합니다.

금리에 민감한 자산이 부채보다 많은 '금리상승 이득층'과 비교할 때 평균적으로 젊고, 소득 수준은 다소 낮지만 주택 보유 비율과 소비 수준에는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금리 노출이 중립에 가까운 취약층은 저소득, 저자산, 저부채 가구가 많았습니다.

한국은행이 금리 노출 분류에 따라 팬데믹 이후 가계 소비 변화를 조사한 결과, 실제로 '금리상승 손해층'의 소비 회복이 가장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소득 요인을 제외한 소비 증가율을 조사한 결과, 취약층의 소비 감소는 금리상승 손해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했으며 금리상승 이득층의 소비는 소폭 증가했습니다.

 

또한, 한국은행의 모델 분석 결과, 금리가 1%p 상승할 때 가계소비 증가율은 0.32%p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 소비 증가율 변화를 전 분위에 적용되는 '기간 간 대체' 효과와 금리 노출 영향으로 나눠보면, 기간 간 대체는 0.26%p, 금리 노출 격차는 0.06%p 소비 증가율을 낮췄습니다.

 

가계 노출을 통한 금리 인상 영향이 기간 간 대체 효과에 더해 전체 소비를 20% 이상 추가로 위축시켰다는 의미입니다.

금리상승 손해층에 소비 성향이 높은 가계가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된 반면, 금리상승 이득층에는 소비 성향이 낮은 가계가 많기 때문이라는 것이 한국은행의 설명입니다.

 

정동재 거시 분석팀 과장은 "앞으로 물가가 안정되면 금리도 낮아지고 가계 소비도 긍정적 영향을 받을 것"이라면서도 "그간 누적된 물가 상승으로 인해 물가 수준이 크게 높아진 점은 향후 소비 회복 속도를 제약할 수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이어 "30대와 40대의 부채 비율이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금리가 낮아질 경우 가계 부채가 다시 확대되지 않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