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놀라운 세상

작년 韓 세계수출시장 점유율 2.7%...2008년 금융위기 이래 최저

by 작가석아산 2023. 4. 16.
반응형

 작년 韓 세계수출시장 점유율 2.7%...2008년 금융위기 이래 최저

이런 뉴스가 지금 한국의 현 상황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뉴스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메이저 언론이라고 하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는 이런 것은 보도하지 않죠.

그들이 나라를 위하는 언론일까요?

 

아니죠. 그들은 그들만 잘 살면 되는 세력들입니다.

한 줌도 안 되는 부자들, 언론 권력들이 자신들이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드는 것. 세상이 망해도 지들은 잘 사는 세상...

숙주가 죽으면 안 되니, 간신히 숙주가 숨만 쉴 수 있도록, 그냥 살려만 두는 기생충 같은 세력들...

 

대한민국 국민으로 산다는 것도 하나의 극한 직업입니다. 

 

지금 영부인이 개식용 금지를 모토로 내거니까 바로 태영호랑 조수진이 입법하려고 하던데요... 그럴 때가 아닙니다 지금!

빨리 중국이랑도 국익을 위한 협상을 해야 하고, 할 일이 산더미 같은데요.

 

자, 어쨌든 지금 우리나라의 심각한 경제 위기 소식을 무거운 마음으로 전해드립니다.

 

대한민국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이 흔들리면서 지난해 한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이 글로벌 금융위기가 강타한 2008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16일 세계무역기구(WTO)와 한국무역협회(KITA)에 따르면 작년 전 세계 수출액은 24조9천44억8천900만달러이며, 이 가운데 한국의 수출액(6천835억8천500만달러)이 차지하는 비중은 2.74%로 집계됐습니다.

 

한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이 2020년 2.90%에서 2021년 2.88%로 떨어진 데 이어 2년 연속 하락한 것입니다.

한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은 2014년(3.02%) 처음으로 3%를 넘은 이후 2018년(3.09%)까지 5년 연속 3%대를 기록했습니다. 2017년(3.23%)에는 점유율이 역대 최고치를 찍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중국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가 처음 발생해 팬데믹(대유행)으로 번진 2019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2.85%→2.90%→2.88%→2.74%)으로 2%대에 머물렀습니다.

작년(2.74%)에는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에 의해 세계적인 경기 침체를 겪은 2008년(2.61%) 이후 최저치로 내려왔습니다.

한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단위 %)
한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단위 %)

 

2018년부터 본격화한 미·중 무역 전쟁으로 세계적으로 자국 중심주의와 보호 무역이 확산하고,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이 같은 기조가 더욱 두드러지면서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이 직격탄을 맞은 것입니다.

 

무역협회 추산으로 수출 점유율이 0.1%포인트 하락하면 약 14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날 정도로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한국의 최대 수출 주력 품목인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20.9%까지 올랐다가,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17.3%→19.4%→19.9%→18.9%) 20% 선을 회복하지 못했다. 올해 1∼3월에는 비중이 13.6%로 뚝 떨어졌습니다.

이런 수출 위기는 외부 요인뿐 아니라 내부 요인도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조상현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이 떨어지는 기저에는 그만큼 한국 기업들의 글로벌화가 이미 많이 진전된 이유도 있다"면서도 "그간 메모리반도체 호황에 안주하며 수출 주력 업종 변화에 소홀해 수출 산업의 경쟁력과 역동성이 뒷걸음질 친 측면이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대한민국 반도체 수출 비중(단위 %)
대한민국 반도체 수출 비중(단위 %)

 

지난달까지 한국 경제를 지탱하는 수출이 6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수출보다 수입이 많은 무역적자 행진이 13개월째 이어졌습니다.

무역적자 규모는 지난해 477억8천400만달러로 연간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들어 3월까지는 224억100만달러로 이미 작년치의 46.9%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지난해 전체 무역(수출입) 규모에서 차지하는 무역적자의 비중은 3.4%로, 한국이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한 외환위기 시기인 1997년(3.0%)보다 높았습니다.

 

특히 올해 1∼3월 무역적자 비중은 6.9%로 지난해(3.4%)의 2배가 넘었습니다. 세계화가 진행되기 시작한 1990년 이후로는 IMF 외환위기가 도래하기 한 해 전인 1996년(7.4%)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무역수지 악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한국의 무역 구조상 세계 수요 변동에 민감한 중간재 품목의 수출 비중이 74%,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93%에 달하기 때문입니다.

세계적 경기 침체로 중국, 베트남 등에서 한국으로부터 중간재를 수입해 완제품을 만들어 수출하는 수요가 줄고 있으며, 중국의 경우 중간재에 대한 자국산 생산 확대를 추진 중입니다.

여기에다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에너지 수급 불균형으로 3대 에너지원(석탄·석유·가스)의 수입 가격이 급등하면서 무역 수지 악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조 원장은 "주요국이 기존의 무역 질서를 무시하고 '보조금 전쟁'을 벌이는 가운데 정부 차원에서 단기적으로는 과감한 세제 지원과 보조금 지급 정책이 필요하다"며 "각국이 기관총을 나눠주며 전쟁을 치르는데, 한국만 소총으로 싸울 수 없는 비상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중간재 수출 감소와 에너지 수입 증가라는 연쇄 고리를 중장기적으로 수출 품목 다변화와 고급화로 끊어내려는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역설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