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유실물 1위는?
지하철 유실물 1위, 무어라 보십니까? 예전에는 압도적으로 휴대전화가 1위였다고 하네요. 주로 전철 안에서 잃어버렸겠죠?
지금은 휴대전화가 아니랍니다! 소식 보시고, 우리 모두 물건 잃어버리지 않도록 조심합시다!
코로나19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지난해 서울 지하철 유실물이 전년보다 25%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실물 1위는 지갑이었습니다. 일단 유실물 총량이 늘어났다는 건, 역시 거리두기 완화로 오랜만에 집을 나선 사람들이 깜박하고 물건을 놓는 경우가 많았다는 뜻일 듯합니다.
어쨌든 서울교통공사에 의하면 지난해 접수된 지하철 유실물은 총 12만7387건이라고 합니다. 엄청난 양이네요! 2021년 10만1618건보다 25.4%나 증가한 양입니다.
각종 행사와 저녁모임 증가로 지하철 이용객이 늘면서 유실물도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서울지하철 1~8호선 수송 인원은 약 21억5000만명으로 전년의 19억5000만명보다 10.4%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지하철에서 가장 많이 잃어버린 물건은 지갑으로, 전체 유실물의 24.5%(3만 1228건)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휴대전화 16.5%, 의류 14.4%, 가방 14.2% 등이었습니다.
지하철 유실물 품목도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있답니다. 2006년만 해도 전체 유실물 중 1위는 가방(31.6%)였습니다.
그러나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유실물 품목 1위는 줄곧 휴대전화가 차지했다고 합니다. 참 신기합니다. 휴대전화 손에서 놓고는 못 사는데, 어떻게 이게 1위가 될 수 있는지 ㅋㅋㅋ
2018년 이후부터는 지갑 분실이 가장 많아졌다고 합니다.
유실물로 접수된 지갑류는 대부분 얇은 카드지갑인 점을 고려하면, 교통카드를 넣은 카드지갑을 개찰구 등에서 사용 후 놓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교통공사는 추측했습니다.
지난해 접수된 유실물 중 63.0%(8만191건)는 물건을 잃어버린 본인에게 직접 인계됐으며 23%(2만9618건)는 경찰에 이관됐습니다.
나머지 14%(1만7578건)는 보관된 채로 주인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본인 인계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휴대전화로 94.1%에 달했습니다.
이어 가방(78.9%), 지갑(78.2%)도 본인 인계율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반면 의류는 1만8333건 중 10.0%(1833건)만 본인에게 인계되었습니다.
교통공사는 지하철을 타고 이동 중 물건을 두고온 것을 인지한 경우 잃어버린 위치와 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고객안전실에 유실물을 신고하기 전에 열차 하차 시각과 방향, 승하차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유실물을 찾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열차와 승강장 사이 선로로 물건을 떨어뜨렸을 때는 당일 인계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안전상의 이유로 열차 운행 시간에는 회수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런 경우 물건의 종류와 승강장 위치를 고객안전실에 신고하면 영업 종료 후 수거해 다음 날부터 인계받을 수 있습니다.
교통공사는 각 역에서 유실물이 들어오면 경찰청 유실물 포털 사이트인 'lost112 ( www.lost112.go.kr) 에 등록하고 이후 호선별로 운영 중인 유실물센터로 보냅니다. 승객이 바로 찾아가지 않을 경우 1주일 간 보관 후 경찰서로 이관합니다.
'놀라운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가 주목한 한국인의 '아아' 사랑, 외신에 '얼죽아(Eoljukah)' 등장 (4) | 2023.02.11 |
---|---|
미 알래스카 상공 미상 물체 격추…中정찰풍선 6일만 (2) | 2023.02.11 |
독을 미용에 이용하다! 보툴리눔 톡신, 그러나... (2) | 2023.02.10 |
핵전쟁 지구 종말 와도 '이곳' 가면 산다…1위 차지한 나라 (2) | 2023.02.10 |
장모에게 마약 투여해 성폭행 시도한 40대…징역 12년, 법정구속 (2) | 2023.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