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놀라운 세상

직장인들은 주 52시간도 길다고 해... 주 36.7시간 희망

by 석아산 2023. 3. 19.
반응형

직장인들은 주 52시간도 길다고 해... 주 36.7시간 희망
직장인들은 주 52시간도 길다고 해... 주 36.7시간 희망

직장인들은 주 52시간도 길다고 해... 주 36.7시간 희망

직장인들은 주 52시간도 길다고 해... 주 36.7시간 희망

 

진짜 웃기지 않습니까. 정부가 하는 일이 말이죠.

 

일단 노동 유연화라는 이름으로 주 최대 69시간을 빡세게 일하고 몰아서 쉬는 방향으로 법을 제정하려고 했죠.

 

노동 환경과 강도에 따라, 어떤 직종은 주 69시간 일하면 말 그대로 죽을 수도 있는 시간입니다. 산업화 시대, 노동자 인권에 대해 무지했던 그런 시대에나 가능한 정책이죠.

 

그런데 국민들, 특히 젊은 세대들이 불만을 표하자, 바로 윤석열 대통령은 주60시간 정도를 상한으로 하라고 지시했다죠.

 

어이가 없습니다. 무슨 노동시간이 대충~ 눈대중으로 한 60시간쯤이면 그래도 낫지 않겠냐~ 뭐 이런 식인데요.

 

검사 출신이니 뭐 노동환경 이런 것에 대한 개념이 있겠습니까. 참고로 지금 우리 정부 요직에 검찰 출신이 136명이나 있다고 합니다. 어이가 없죠. 검사는 지들이 뭐 다 잘하는 줄 아는가 보죠... ㅉㅉㅉ

 

검사 다 없애고 차라리 인공지능으로 갈아치웠으면 좋겠습니다.

 

어쨌든 이렇게 주 69시간이니, 주 60시간이니... 그러고 있지만 현행 법은 주 52시간이 상한입니다.

 

그러나 직장인들은 그보다 훨씬 적은 평균 36.7시간을 희망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간극을 어떻게 할 것입니까. 정부는 앞으로 어떤 노동 철학을 가지고, 어떤 정책을 펼치려는지요. 전혀 신뢰가 가지 않습니다.

 

60시간이니 뭐니 툭툭 던지지 마시고, 용역에 돈 좀 들여서 광범위한 노동시간 분석을 좀 하십시오. 그리고 직종별로 차별화하는 방안 등도 살펴 보시구요. 그러라고 뽑아준 거 아닙니까.

 

자, 소식 보시죠.

직장인 희망 근무 시간 36.7시간

정부가 '주 52시간 근무제'를 개편해 선택적 연장근로를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가운데 직장인들이 희망하는 주 단위 근무시간은 36.7시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의 인식과는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조사결과입니다.

 

1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2022년 전국 일-생활 균형 실태조사'에 따르면 취업자가 희망하는 주당 근로시간은 36.70시간입니다. 상용근로자로 한정하면 37.63시간 근무를 희망했습니다.

 

임시·일용 근로자는 짧은 근무 시간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아 희망 근로시간이 32.36시간에 불과했습니다.

 

연령대가 낮을 수록 희망 근로시간이 짧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0대 이하(19~29세)는 34.92시간, 30대는 36.32시간, 40대는 37.11시간, 50대는 37.91시간으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긴 근로시간을 원했습니다.

 

미혼자는 35.46시간으로 37.55시간인 기혼자보다 짧았습니다.

취업자가 실제로 근무하는 시간은 41시간으로, 희망 근로시간보다 4시간가량 많았습니다. 현재 주 52시간 넘게 일하는 근로자들의 희망 근로시간은 평균 44.17시간으로 조사됐습니다.

 

취업자들의 하루 휴게시간은 식사시간을 포함해 평균 64.45분으로, 응답자의 40.1%가 부족하다 응답했습니다. 휴게시간은 임시·일용근로자(61.26분), 판매·서비스종사자(60.52분), 보건업·사회복지·교육 서비스업 분야(59.03분)가 평균보다 짧았습니다.

 

주 52시간을 넘게 일하는 취업자들의 휴게시간은 평균 66.21분으로 근로시간과 상관관계는 적은 모습이었습니다.

보건사회연구원은 "워라밸을 중요시하는 문화의 확산 등으로 일하는 시간이 줄어들고는 있지만 한국은 여전히 장시간 노동국가"라며 "희망하는 근로시간을 고려하면 일하는 시간에 대한 관리가 꾸준히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적절한 휴식 시간은 근로자의 생명과도 직결된 문제인 만큼 철저히 보장돼야 한다"며 "삶의 방식이 다양해짐에 따라 개인과 가족이 매우 다른 조건을 가지고 있으므로 획일화된 제도는 격차를 더욱 크게 만들 수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