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스벅에 가면 종이 빨대 많이 나오는데요...
처음에는 어색했지만 지금은 당연하게 쓰고 있습니다.
저는 뭐 이 종이 빨대를 사용한다고 해서 음료맛이 이상하게 느껴진다거나 하진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 종이 빨대가 건강에 안 좋다는! 그런 충격적인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자 과연 무슨 소식인지 한번 보시죠!
종이 빨대의 위험성
'친환경'으로 흔히 인식되는 종이 빨대가 플라스틱으로 만든 빨대만큼이나 인체나 환경에 유해할 수 있다고 합니다 ㅠㅠ
현지시간 25일, 독일 dpa 통신에 따르면 벨기에 연구진이 자국에서 유통되는 39개 친환경 빨대 브랜드 제품을 상대로 과불화화합물(PFAS) 함유 여부를 검사했습니다.
그 결과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된 분석에서 무려 27개(69%)에서 PFAS가 검출됐습니다. 확인된 PFAS는 모두 18종이었습니다.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는 PFAS는 자연적으로는 잘 분해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인체나 동식물, 환경에 유해해 세계 각국이 앞다퉈 규제를 추진 중인 물질입니다
특히 종이 빨대는 20개 제품 중 무려 18개(90%)에서 PFAS가 나왔습니다. 대나무 빨대는 5개 중 4개(80%), 플라스틱 빨대 4개 중 3개(75%), 유리 빨대 5개 중 2개(40%)에서 이런 물질이 나왔습니다.
스테인리스스틸제 빨대에선 PFAS가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연구진은 종이 빨대의 PFAS 검출 비율이 높은 것은 방수 코팅 등에 PFAS가 쓰였기 때문일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벨기에 앤트워프대학 소속 환경과학자 티모 그로펜 교수는 미국에서 널리 쓰이는 식물 성분 빨대에서 PFAS가 검출된 것을 계기로 이 문제를 파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벨기에 내 슈퍼마켓과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빨대의 실상을 확인한 결과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가장 많이 검출된 PFAS인 과불화옥탄산(PFOA)의 경우 이미 2020년부터 사용이 금지된 물질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밖에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TFA)과 트리플루오르메탄설폰산(TFMS) 등 물에 잘 녹는 '초단쇄'(超短鎖) PFAS로 분류되는 물질도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연구진은 빨대에 함유된 PFAS가 음료 등에 실제로 녹아 나오는지는 이번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습니다. 또 PFAS의 체내 축적 정도가 낮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대다수의 사람은 가끔만 빨대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런 빨대의 인체 유해도는 제한적일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그로펜 교수는 "그 자체로는 해가 없을 적은 양의 PFAS라도 이미 체내에 존재하는 화학물질에 따른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또한 "종이나 대나무 등 식물 기반 재료로 만든 빨대는 종종 플라스틱 빨대보다 지속 가능하고 친환경적이라고 선전된다. 하지만, PFAS가 든 빨대의 존재는 이런 광고가 꼭 진실은 아닐 수 있다는 의미"라고 강조했습니다.
유럽에서는 처음이고 세계적으로는 2번째로 진행된 이번 연구의 결과는 국제학술지 '식품첨가물과 오염물'(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최신 호에 게재됐습니다.
'놀라운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에 등장한 서서 자는 수면 캡슐 카페 (5) | 2023.08.28 |
---|---|
한글로 쓰면 뭐 큰일나나? 영어 메뉴판 근황 (2) | 2023.08.27 |
폰 보던 중 돌연 숨 막히는 '스크린 무호흡증' (2) | 2023.08.25 |
핸드헬드 PC 게이밍 콘솔의 반란... 30분 만에 완판 (2) | 2023.08.24 |
기존과 완전히 다른 방법으로 슈퍼박테리아 죽이는 항생제 발견 (1) | 2023.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