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맞춤법 오류
글을 쓰는 사람이 아닌 이상, 맞춤법 오류에 신경 쓸 일이 많지 않다... 고 말하고 싶지만,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여러분께 묻겠습니다. 만약 사람이 이런 카톡을 보냈다고 해 봅시다.
“그거 내일 모래 하면 안 되?”
뭔가가 쭈욱 피부를 타고 스물스물 기어 올라오는 것 같지 않습니까?
자, 이런 것을 일컬어 맞춤법 공해로 인한 맞춤법 알러지라고 합니다. 이 밖에도 맞춤법 오류에 대한 밈은 너무나도 많습니다. 다음을 봅시다.
아주 난장판입니다. ‘정확한 언어가 몹시 마렵다’는 표현은 이때 쓰는 것일 겝니다.
얼마 전 뉴스를 보니, 여자가 싫어하는 남자 1위는,
입냄새가 심한 남자이고,
2위는,
맞춤법이 심하게 틀리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맞춤법이 ‘심하게’ 틀린다는 것에 주목하기 바랍니다. 여자분들께서는 이해심이 많습니다. 맞춤법이 적당히 조금만 틀린다면, 그저 귀엽게 넘어가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심하게 틀린다면?
그렇습니다. 그런 남자랑 같이 다니는 게 부끄러워지는 겁니다.
그러니 우리, 아주 틀리지 않도록, 많이 틀리는 맞춤법 정도만 체크해 보고 가는 것은
어떠실까요? 자, 몇 개의 사례를 제시해 봅니다.
그 전에, 유튜브 동영상에 올라온, ‘맞춤법 절대 안 틀리는 노래’를 듣고 가실까요?
https://www.youtube.com/watch?v=riQ1ax3lvhw
자주 틀리는 맞춤법 (사례)
(1) ‘애’가 ‘에’로 발음이 수렴됨에 따라 발생하는 오류. 이거 의외로 많다.
예) ‘모레’를 ‘모래’로, ‘벌레’를 ‘벌래’, ‘요새’를 ‘요세’, ‘베개’를 ‘베게’. ‘(불에) 데었다’를 ‘대었다’, ‘손을 베다’를 ‘손을 배다’로 쓰는 경우.
(2) 이중모음을 단모음으로 쓰는 경우. 또는 그 반대로 잘못 쓰는 경우
‘어이없다’를 ‘어의없다’ 등으로 쓰는 경우. ‘얘기’를 ‘예기’로, ‘연예인’을 ‘연애인’으로. ‘외국인’을 ‘왜국인’으로, ‘훼손’을 ‘회손’으로, ‘장래 희망’을 ‘장례희망’으로 ㅋㅋㅋ
(참고로, ‘애’는 ‘에’보다 입을 크게 벌려 발음해야 합니다.)
(3) ㅎ받침이 들어가는 동사 어간과 없는 동사 어간을 혼동해 쓰는 경우.
‘감기 빨리 나아’를 ‘감기 빨리 낳아’ 등으로. ‘절구에다 빻아’를 ‘절구에다 빠아’ 등으로
(4) ‘아/어’로 끝나는 종결어미 형태의 혼동
‘됐다’를 ‘됬다’로, ‘되지’를 ‘돼지’로.
(이 경우에는 ‘됐다’는 ‘되었다’의 축약으로 보면 간단히 해결된다. 머릿속으로 ‘-아/어’를 집어넣어 보고, 그게 가능하면 ‘돼’로, 불가능하면 ‘되’로 쓰면 된다. 예를 들어 ‘되지’는 ‘되어지’라 쓸 수 없다. 반면 ‘됐지’는 ‘되었지’로 바꾸어 쓸 수 있다.)
(5) 형태소를 더 집어넣거나 빼는 오류
‘설렘’을 ‘설레임’으로, ‘삼가다’를 ‘삼가하다’로, ‘보이다’를 ‘보여지다’. ‘되다’를 ‘되어지다’로.
(‘설레다’는 본동사에 그대로 명사화 접사 ‘-(으)ㅁ’을 붙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삼가다’가 본동사라서, ‘하’는 잉여적인 것으로 불필요하다.)
(6) 잉여적 요소
‘처가’를 ‘처갓집’으로, ‘역전’을 ‘역전앞’으로.
(7) 받침을 소리나는 대로 쓰는 경우. 대부분 한자어이다.
‘문안을 드리다’를 ‘무난을 드리다’,
(8) 아예 단어 자체를 틀리는 경우
‘다르다’를 쓸 곳에 ‘틀리다’를 쓸 경우(‘맞다’의 반대말이 ‘틀리다’이고, ‘같다’의 반대말은 ‘다르다’이다.), ‘맞추다’와 ‘맞히다’를 잘못 쓰는 경우(‘맞히다’는 ‘80점을 맞히다’와 같은 경우에 쓰고, ‘맞추다’는 ‘큐브를 맞추다’ 등에 쓴다.)
이상만 염두에 두면 그래도 크게 맞춤법 때문에 곤욕을 치를(이걸 ‘치룰’로 쓰면 안 됩니다^^) 경우는 없을 것 같습니다.
자, 그럼 가장 치명적인 맞춤법 오류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정말 극히 드문 일이지만, 저는 예전에 학생 가르치는 일을 할 때, 아래처럼 어미를 잘못 쓰는 사람을 본 적이 있습니다.
“눈치도 못채내.” 이렇게, 말이죠.
이 경우는 정말 최악입니다.
왜냐면, 단어는 실수로 한번 틀렸다 하더라도 대개 반복되지 않아 슬쩍 지나갈 수 있는 반면, 어미는 계속 문장 끝에서 반복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틀린 문장들이 연이어 생산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다행히도, 이렇게 어미를 틀리는 사람은 극히 드뭅니다!
자, 재미있게 보셨나요?
맞춤법, 전부 맞혀서 사용할 필요는 없지만,
덜 틀릴 필요는 있겠습니다^^
요새는 맞춤법 검사기가 많이 나오니까. 아래의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를 이용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습니다. 띄어쓰기까지 교정해주니까, 중요한 글의 경우 꼭 검사를 해주도록 합시다/
감사합니다. 이상 석아산이었습니다.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 네이버 통합검색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놀라운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이 우리의 손목을 부러뜨릴랑가? 아이폰 14 무게 논란 (33) | 2022.06.20 |
---|---|
과연 AI는 의식을 가질 수 있을까요? 죽음을 두려워 한다는 구글 AI (48) | 2022.06.20 |
유류세를 인하한다고요? 그런데 왜 기름값은 그대론데요? (30) | 2022.06.19 |
18세 피아니스트 임윤찬 반클라이번콩쿠르 우승 (30) | 2022.06.19 |
네플릭스가 왜 한국 통신사에 돈을 내야 하냐고요? (27) | 202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