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놀라운 세상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아이 유산한 임산부

by 석아산 2024. 2. 29.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아이 유산한 임산부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아이 유산한 임산부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인한 피해 사례가 늘고 있네요.

얼마 전에는 80대 분이 응급실 전전하다가 심정지로 돌아가셨고요. 또 어떤 프로게이머가 교통사고 후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했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번에는 한 여성이 전공의 집단 사직의 여파로 인해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해 아이를 유산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어떤 소식인지 한번 보도록 하죠.

 

* 다른 흥미로운 포스팅이 궁금하시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아이 유산한 임산부

 

임신부 한 분이 지난 27일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서 제출 사태로 인해 병원에서 수술을 받지 못하고 아기를 유산했다"고 피해를 신고하면서 정부가 조사를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출산이 임박했던 이 분은 "산도 이상으로 서울의 어느 대학 병원에서 수술을 받으려 했으나 '수술할 여력이 없다'며 거절당했다"고 하며 "다른 병원을 찾아보다가 결국 유산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에 국무총리가 본부장으로 있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9일 즉시 대응팀을 해당 병원에 파견해 현장 조사를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해당 병원 측은 "우리 병원에서 태아가 사망한 사례는 없었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으로 인한 의료 파행이 일주일 넘게 지속되면서 보건복지부 '의사 집단행동 피해 신고·지원 센터'에 다양한 피해 사례가 접수되고 있습니다.

복지부에 따르면, 19일부터 27일까지 총 671건의 상담이 이뤄졌으며, 이 중 의료 파행과 관련된 피해 신고는 304건에 달했습니다. 피해 신고의 75%는 수술 지연(228건) 사례였습니다.

 

환자 A씨는 지난 22일 투석 치료 중 혈관에 문제가 생겨 급히 수술을 받아야 했으나, 다른 병원에 문의해도 "의사 파업으로 수술이 불가능하다"는 답변만 받았습니다.

겨우 수술이 가능한 병원을 찾았으나, A씨는 23일 새벽 결국 사망했습니다. A씨 가족은 "수술 지연으로 인해 심장에 무리가 생겼다"고 복지부에 신고했습니다.

 

1개월 된 신생아를 둔 B씨는 "수신증 때문에 우리 아이가 계속 등에 호스를 꽂고 생활하고 있지만, 수술 날짜를 잡지 못하고 있다"며 피해를 신고했습니다. 지난 17일 수신증 진단을 받았지만, 대학 병원에서는 전공의 집단 사직 사태가 끝날 때까지 기다리거나 다른 병원을 찾아보라는 안내를 받았습니다.

 

4기 간암 환자인 C씨는 지난 21일 입원할 예정이었으나 '전공의가 사직서를 제출해 수술이 불가하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C씨는 "주말부터 계속 몸이 아팠으며 다른 병원을 찾고 다시 진료받기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식도암을 앓고 있는 D씨 역시 "전공의가 없다는 이유로 입원이 취소되어 통원 치료를 받고 있으며, 입원하지 않으면 실비 보험 혜택을 받지 못해 병원비 부담이 커져 치료를 중단할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척추 수술을 받고 재활 중인 어머니를 둔 E씨는 "진료 의사가 '전공의 파업으로 의료진이 부족하고, 곧 파업에 참여할 예정이니 어머니를 모시고 퇴원해 달라'고 했다"고 신고했습니다.

 

 

 대처 방법은?

 

이러한 의료 파행 사태는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서 제출과 같은 사건이 발생할 때, 이는 단순히 의료 인력의 부족 문제를 넘어서 의료 시스템 전반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대화와 협상 강화:

정부와 의료계 사이의 지속적인 대화와 협상을 통해 의사들의 업무 환경과 처우 개선에 대한 합의에 이를 필요가 있습니다. 의료 인력의 고충을 이해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이러한 집단 행동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비상 대응 체계 마련:

의료 파행 상황에서 환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비상 대응 체계를 마련해야 합니다. 이는 임시 의료 인력 배치, 타 병원과의 협력 체계 구축, 비상 상황에서의 우선 순위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의료 시스템의 강화:

장기적으로는 의료 시스템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이는 의료 인력 양성 및 배치의 효율성 증대, 의료 시설과 장비의 확충, 의료 서비스의 지역 간 불균형 해소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정보 제공 및 상담 서비스 강화:

의료 파행 상황에서 환자들이 겪는 혼란을 줄이기 위해 정확한 정보 제공과 상담 서비스를 강화해야 합니다. 이는 환자들이 신속하게 대체 의료 서비스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법적 및 제도적 대응 강화:

의료 파행 상황을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법적 및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합니다.

이러한 대처 방안은 단기적인 해결책과 장기적인 시스템 개선을 모두 포함하며, 정부, 의료계, 그리고 사회 전반의 협력을 필요로 합니다. 의료 서비스의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접근과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