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놀라운 세상

고려시대 '황금불경' 일본에서 돌아왔다

by 석아산 2023. 6. 15.
반응형

 

<묘법연화경> 권제6의 변상도 부분
<묘법연화경> 권제6의 변상도 부분

화려하고 아름답기 그지없는 고려시대의 '황금불경'이 일본에서 우리나라로 돌아왔습니다.

저 위의 사진을 보시면 아시다시피, 실제 황금으로 사경을 한 것입니다.

 

정교한 고려시대 장인의 기술을 한껏 볼 수 있는 명품인데요. 이 작품이 어떻게 일본에 있었고, 어떤 경위로 돌아오게 되었는지를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사진은 700년전 고려시대 우리 조상님들이 간절한 기원을 담아 금가루물로 옮겨쓴 불경입니다.

세계적으로 이름이 드높은 미술품이고요, 불화와 더불어 고려인들의 독창적인 예술품으로 세계미술사에 길이 남을 명작입니다.

 

이 사경 예술 작품이 우리나라에 돌아왔는데요.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14세기말 장인들이 중요한 불교경전인 '묘법연화경'의 내용을 금가루물로 정성껏 옮겨 적고 해설용 그림을 덧붙인 고려사경 '묘법연화경 권제6(妙法蓮華經 卷第6)'이 최근 일본에서 환수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작품은 15일 오전 서울 경복궁 경내의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유물을 언론에 공개합니다. 

 

고국에 돌아온 '묘법연화경 권제6'은 감색 종이에 경전 내용을 먹물 대신 금물과 은물에 적신 붓으로 옮겨 적은 불경의 필사본입니다.

지난해 6월 일본 소장자가 재단에 팔겠다는 뜻을 밝힌 뒤 수차례 협상 끝에 지난 3월 국내로 들어왔다고 재단이 전했습니다.

 

이 사경은 병풍처럼 접는 식으로 되어 있는 절첩본입니다.

표지에는 금물로 4개의 연꽃이 세로 구도로 그려져 있습니다. 연꽃들 주위에 은물을 써서 열백 없이 넝쿨 무늬를 그려넣었습니다.

그리고 그 위로 사각의 칸을 두어 경전의 제목을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접었을 때는 세로 27.6센티미터, 가로 9.5센티미터이며 첩을 펼쳤을 때는 가로 길이가 10미터를 넘습니다.

&lt;묘법연화경&gt; &#39;권제6&#39;의 모습. 변상도와 뒷면 표지가 보인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묘법연화경> '권제6'의 모습. 변상도와 뒷면 표지가 보인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변상도라는 것은 경전 내용을 압축해 그림으로 묘사한 부분인데요. 이는 모두 4개의 화면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화면 오른쪽에는 '묘법연화경'의 내용을 대중에게 풀어 이야기해주는 석가모니불, 그리고 그를 따르는 여러 불교신상들이 있습니다.

왼쪽에는 사람들이 성내며 돌을 던져도 '그대들은 모두 성불하리라'고 말하는  상불경보살품(常不輕菩薩品·제20품)과 불길 속에 몸을 바쳐 공양하는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本事品·제23품)의 장면 등이 담겨 있습니다.

 

이 장면은 모두 '묘법연화경 권제6'의 하일라이트 장면들입니다.

 

화면 오른쪽 설법 장면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화면을 선으로 빼곡하게 채운 점을 보아 14세기 후반 고려 사경의 특징이 매우 잘 드러난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불경의 문구는 모두 108면에 걸쳐 이어집니다. 한 면 당 여섯행씩, 각 행에는 17 글자가 적혀 있습니다.

그 경계는 금물로 그리고, 은물로 글자를 정성스럽게 적었습니다.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는 대중사상을 담은 '묘법연화경'의 전체 7권 중 제 6권에 해당하는 부분을 옮긴 것입니다.

이는 묘법연화경 전파의 중요성과 공양 실천을 강조하는 것이 주된 내용입니다.

 

필사된 내용 중 23품에 해당하는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本事品)'에는 묘법연화경이 '여러 경전 가운데 최고'이며, '이 경전을 듣고 스스로 쓰거나 다른 사람을 시켜 쓰면, 그 공덕은 부처님의 지혜로 많고 적음을 헤아려도 그 끝을 알 수 없다'는 효능이 적혀 있어 주목됩니다.

사경의 원본인 '묘법연화경'은 중국 후진시대(384-417)의 승려 구마라집이 한문으로 번역한 7권 28품의 경전입니다.

환수된 사경 유물은 구마라집의 한문번역권 7권 중 제 6권을 옮겨 적은 것입니다. 18품에서 23품까지의 내용이 담겼지요.

 

사경은 불교 교리를 널리 전파하기 위해 제작된 것입니다.

그러나 고려 시대에는 왕족과 귀족 등이 극락왕생 등의 소원을 빌고 공덕을 쌓는 수행의 한 방법으로 널리 성행했습니다. 심지어 국가에서는 이렇게 경전을 베끼는 전문 기관인 사경원까지 있었다고 합니다.

 

재단 쪽은  "환수한 사경은 불교문화유산으로서의 종교적 가치와 미적 가치를 함께 자랑하며, 700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음에도 보존 상태가 양호해 향후 다양한 연구와 전시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