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놀라운 세상

올해 노벨상 수상자 스반테 페보, 네안데르탈인 부녀 찾았다!!!

by 석아산 2022. 10. 20.
반응형

예전에 포스팅을 해드린 적이 있었죠.

바로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스반테 페보에 대한 것이었는데요.

 

그분의 업적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네안데르탈인이 인간과 유전자를 교환하였다는 것이었습니다. 즉 아시아와 유럽인은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를 1-2%정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정말 놀랍지 않은가요. 네안데르탈인은 지금은 멸종한 인간의 친척 종인데요. 그런데 그 유전자는 우리 속에 살아남아 있습니다... 정말 이런 사실을 생각하면, 넘 경이롭습니다.

 

우리 인간은 같은 호모 사피엔스라는 단일종인데도, 무슨 코카서스 인종이니 황인종이니 흑인이니 하면서 분별하면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모두들 네안데르탈인과의 혼합종이라는 것... 이런 과학적 사실을 생각하면, 인종의 구분이 얼마나 환상에 불과한지를 알 수 있게 됩니다.

 

어쨌든! 이런 사실을 밝혀낸 노벨상 수상자 스반테 페보가, 이번에는 네안데르탈인 부녀를 발견해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인류의 사촌, 또는 숨겨진 조상으로 불리는 네안데르탈인이 최초로, 가족단위로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네안데르탈인은 호모 사피엔스보다 먼저 유라시아에 정착했다가, 지금은 멸종한 인류입니다. 지금까지 모두 18명의 화석이 발굴되었는데요, 이번에 이렇게 가족이 한꺼번에 발견된 것은 처음이라고 합니다.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의 로리츠 스코프, 스반테 페보 박사 연구진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알타이산맥 남서쪽에 인접한 러시아의 두 동굴에서 5만 1000년에서 5만 9000년 전 사이 혈연관계를 맺은 것으로 보이는 네안데르탈인 13명의 화석을 발굴했다"고 밝혔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은 40만년 전 아프리카를 떠나 유라시아에 정착했습니다. 약 4만년 전 멸종하기까지 7만년 전 아프리카를 떠나온 우리 조상 호모 사피엔스와 공존했다고 합니다.

이번 연구진은 시베리아 차기르스카야 동굴에서 네안데르탈인 11명의 화석을 발굴했으며, 인근 오클라드니코프 동굴에서도 2명의 화석을 확인했습니다. 두 동굴에서 나온 석기 9만여 점이 재료나 형태가 비슷하다는 점이 확인되어, 둘은 동일 집단으로 추정됩니다.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페보 박사는 2010년 네안데르탈인 DNA를 처음으로 해독해 오늘날 유라시아인은 누구나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1~2%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인 호모 사피엔스와 교잡했다는 증거이죠.

 

페보 박사의 연구 이후 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의 숨겨진 조상으로서 재조명을 받았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와 무관한 무식한 미개인의 모습으로 그려졌었는데요. 페보 박사의 연구 이후 정교한 도구를 만들고, 동굴 벽화도 그리는 등 현생 인류의 선구자 이미지를 되찾았습니다.

 

이번 연구로 인해서 이 페보 박사는 네안데르탈인의 사회성까지 엿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차기르스카야 동굴 동굴에서는 성인 8명과 어린이 5명의 화석이 나왔습니다. 유전자 분석 결과 이 중에서 남녀 두 명은 유전자 절반이 같은 부녀 사이로 밝혀졌습니다.

 

또 다른 두명은 유전자가 25%일치해, 할머니와 손자, 또는 이모와 조카로 추정되었습니다. 다른 사람들도 몇 세대만 이어지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공유하고 있어, 같은 시기에 살았던 공동체로 보인다고 연구진은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네안데르탈인 가족이 가부장제를 이뤘음도 밝혀냈습니다. 남성만 있는 Y염색체 유전자보다 여성에게만 유전되는 미토콘드리아 유전자가 더 다양했기 때문입니다. 

 

결국 네안데르탈인은 오늘날 원시부족이나 조선시대처럼, 다른 지역에 살던 여자가 남자가 사는 집으로 오면서 가족을 이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연구진은 네안데르탈인 가족의 유전적 다양성이 그리 크지 않다는 점에서 약 10명씩 공동체를 이뤘다고 추측했습니다. 다른 원시인류나 오늘날 인류 공동체보다 유전적 다양성이 더욱 적은 것입니다. 이렇게 유전적 다양성이 적으면, 멸종하기가 더 쉽겠죠.

 

과학계는 베일에 싸여 있던 네안데르탈인의 '집단'을 연구할 수 있었다는 것에서 이 발견의 커다란 의의를 찾고 있습니다.

 

정말 과학은 우리의 시야를 아주 넓게 만들어 줍니다. 너무나 경이로운 소식이었네요^^

반응형

댓글